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바다를 지켜 일본군 해상 보급을 막음으로써 승리할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당시에 해상전투 가 대부분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에서 벌어졌던것이던데요일본군이 해상 보급을 하려고 해도 그렇게 육지를 따라서 연안 항해를 해야 했다고 합니다원양항해를 하기에는 그때 당시에 는 원양항해는 어려웠다고 합니다그렇지만 일본 해적 들이 중국에 가서 해적질 까지 했던 것을 보면 원양항해 가 완전 불가능한건아니었던 것 같은데요임진왜란 초기에 일본군 에 고니시 라는 사람이 이끌고 온 배만 700척 정도 된다고 하니20만 일본군이 조선에 다 들어올때 는 그 배의 수가 엄청나게 많았을 텐데 제가 궁금한게일본군이 수륙병진 전략을 하려고 하면 이순신 장군의 눈을 피해서 일단 원양항해 를 시작해서 전라도 지역만 벗어난 후 육지로 붙으면서 운행해서 보급하면 해상보급 이 가능했을 것같은데요그때 당시에 육분의 같은 기구도 없고 원양항해 가 어렵지만 일단 전라도 지역만 통과한후 육지로붙으면서 그때 부터 연안항해로 보급 하면 되었을 것 같은데 왜 그렇게 하지 못했나요?왜 그렇게 하지 않았나요?
질문 | 답변 |
왜 원양항해 못했나? | 기술 부족, 선박 성능 한계, 조류 위험, 항구 필요 |
가능성 있었나? | 이론상 불가능. 전 함대 침몰 우려 |
왜 연안항해 고수? | 당시 모든 동아시아 수군이 그 방식만 사용 가능 |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