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3월 월급을 25년 6월에 받았어요거의 1년 넘게 지연지급이였죠근데 여기서 실업급여기준 이직전 1년동안 2개월이상발생이라면퇴직날짜를 언제로 해야 실업급여를 받을수 있나요
임금 전액이 체불된 경우에는 이직 전 1년 동안 미지급 또는 지연지급이 발생한 기간을 모두 합산하여 이직 전 1년 이내에 2개월이 넘으면 정당한 이직사유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 상황 재확인:
24년 3월 월급 → 원래 지급일: 24년 3월 또는 4월 추정
실제 지급일: 25년 6월
현재: 25년 7월 17일
"이직 전 1년" 계산 (현재 퇴직 시):
기준 기간: 24년 7월 17일 ~ 25년 7월 17일
24년 3월 월급은 25년 6월까지 14개월간 지연
이 중 기준 기간 내(24년 7월 17일 이후)에도 약 10개월간 지속적으로 체불 상태
결론: 질문자님은 현재 퇴직해도 조건을 만족합니다. "이직 전 1년 이내에 2개월 이상" 조건이 충족되어 정당한 이직사유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최종판단은 관할 고용센터 실업급여 수급자격 업무 담당자가 귀하의 퇴사과정에 대해 확인을 해야 판단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확인을 위해 관할 고용센터(국번없이 1350)에 상담받으시길 권합니다.

실업급여 신청 조건 2025년 최신 기준 완벽 정리갑작스러운 실직 상황에서 실업급여는 생계 안정의 버팀목이 되어주는 중요한 사회안전망입니다. 하지만 복잡한 조건들 때문에 막상 신청하려니 막막하다는 분들이 많죠.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퇴사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과 비자발적 퇴사가 기본 조건입니다. 2025년 변경된 제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점, 놓치면 안 되겠네요.실업급여 신청 기본 조건1. 고용보험 가입 기간 요건가장 기본이 되는 조건은 바로 고용보험 가입 기간입니다. 이직일 이전 18개월(기...
mg2644395.tistory.com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