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하우머치를 쓰고는 있는데 이해가 안가서요제가 평일 11:30-17:30 6시간 근무인데5월 마지막주3일을 수목금 4시간.6시간.6시간 총 16시간 일을했는데주휴수당이 70400원이라고 뜨더라구요. 6월달은 일주일 매일 나가도 한주 주휴수당이 66000원인데 왜 3일16시간일한 주유수당이매일6시간한 주보다 더 높을까요?
좋은 질문입니다.
"하우머치" 같은 급여 계산 앱에서 표시되는 주휴수당 금액이 이해되지 않으셨던 부분,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주휴수당이란?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수를 개근한 경우, 유급휴일(보통 일요일) 하루치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정해진 소정근로일에 개근
본인 사례 비교
▶ 5월 마지막 주 (수목금 3일 근무)
수: 4시간
목: 6시간
금: 6시간
총합: 16시간 → 주휴수당 발생 조건 충족
✔️ 주휴수당 = 1일 평균 근무시간 × 시급 → (16시간 ÷ 3일) = 약 5.33시간 × 시급 → 예: 시급 13,200원이라면
5.33 × 13,200 ≈ 70,400원 (하우머치 표시와 일치)
▶ 6월 한 주 (월~금 매일 6시간씩, 총 30시간 근무)
근무일수: 5일
1일 평균 근로시간: 6시간
주휴수당 = 6시간 × 시급
→ 6 × 11,000원 = 66,000원 (시급이 11,000원일 경우)
왜 5월 3일 16시간 일한 주의 주휴수당이 더 많나요?
핵심은 1일 평균 근무시간입니다.
5월 주는 3일 근무하면서도 총 16시간 → 하루 평균 5.33시간
6월 주는 5일 근무 총 30시간 → 하루 평균 6시간
시급이 13,200원이라면, 5.33시간 × 13,200원 = 약 70,400원
6시간 × 11,000원 = 66,000원
즉, 평균 근무시간이 × 시급이 더 높기 때문에 3일 근무 주의 주휴수당이 더 높을 수 있는 겁니다.
✅ 정리
주차 | 근무일 | 총 근무시간 | 평균 근무시간 | 시급 | 주휴수당 |
5월 마지막 주 | 수~금 | 16시간 | 5.33시간 | 13,200원 | 약 70,400원 |
6월 주중 | 월~금 | 30시간 | 6시간 | 11,000원 | 66,000원 |
주휴수당은 일한 날 수나 총 시간보다 ‘1일 평균 근무시간 × 시급’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시급이 더 높거나, 평균 근무시간이 조금만 높아도 주휴수당이 더 많게 나올 수 있어요.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